잠시만 기다려주세요
집의체계 :
짓는 집 부수는 집

<집의 체계: 짓는 집, 부수는 집>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후원하는 <기후시민 3.5>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개발된 연구-창작 플랫폼이다. 근대적 생활 양식의 물질적인 관계망에 관련된 연구와 창작 작업을 담아내며 다양한 매체를 통해 소통과 교류를 촉진하는 플랫폼이다. 집의 뼈대를 이루는 콘크리트, 부엌의 플라스틱 그릇, 인체와 공간의 일부가 된 컴퓨터, 이런 일상적인 재료, 자재와 장치들은 커다란 사물의 세계를 구현한다. 이런 사물의 채굴, 생산, 유통, 폐기 과정으로 현대인의 삶이 만들어졌고 현재의 기후 변화를 가져왔다. 이것이 바로 “집의 체계”이다. 기후 위기 속에서 인간의 생활과 노동 방식, 사물의 생산과 소비 방식이 함께 변해야 하는 이유다. <집의 체계>의 콘텐츠는 서울시립미술관과의 협력 관계로 2021년 6월 8일에서 8월 8일 서소문 본관에서 개최되는 《기후미술관: 우리 집의 생애》 전시로 일부 구현되었다. <집의 체계> 플랫폼은 중장기적으로 콘텐츠가 개발, 축적되며 전문 영역의 구애를 받지 않고 유사한 활동을 하는 국내외 연구자, 창작자와 협력 관계를 구축한다. 사물의 관계망 속에서 위기에 처한 오이코스와 폭넓은 연대 관계를 구축해 나간다.

건축자재산업 네트워크

우리의 집과 건물, 도시를 짓기 위해 필요한 자재들은 오랜 시간을 거쳐 발전되어 왔다. 가장 오래된 재료인 시멘트, 벽돌, 콘크리트, 나무부터 가장 짧은 역사를 지닌 플라스틱까지, 건축자재의 변천사는 다양한 물질과 유형으로 개발, 가공, 생산되는 산업화의 과정을 거쳤다. <건축자재산업 네트워크>는 19-20세기를 중심으로 형성된 인간이 개발한 재료와 건축환경이 어떻게 기후위기적 논점과 연결되어 있는지 살펴본다.


집의 생애지도

<집의 생애지도>는 집의 생산, 소비, 폐기 전 과정을 담는 거주환경의 시나리오를 시각화하기 위한 자료 수집 및 연구에 주안점을 둔 작업이다. 이를 바탕으로 거주환경과 이를 구성했던 제조 산업까지 확장하고 연결하는 생애 지도로 <짓는 집의 사물>을 정리하였으며, 시대별 대표적인 주택 유형의 건설과 자재를 보여주는 <주택 유령: 1958-1983-2002>이 본 연구의 주요 결과물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집은 우리가 사는 땅 집에서부터 그 경계를 둘러싼 지구 공간까지 사고를 확장하기 위한 매개 공간이 된다.

3D 스캐너를 통해 집을 정보화하고, 그 정보를 재구성하여 만든 또 다른 시간 속의 집. 데이터로 환생한 기억속의 집은 존재하지 않는 시간의 틈에서 유령처럼 떠다닌다.

우리가. 있는 곳에. 나무가.
재건축을 앞둔 개포주공아파트에서 공간과 나무에 대한 기억을 모으며, 재건축 단지 내 공원 예정지에 살고 있던 메타세콰이어들을 보존하려 한 과정을 다큐멘터리로 기록하였다. 아파트에서 살아온 사람, 나무, 집의 시간을 3채널 영상으로 재구성하였다.
키워드별 아카이브